眞理와 求道者/교회사관련

[스크랩] 예수 시대의 유대교

心中火熱頭腦冷精 2013. 3. 2. 22:39

예수 시대의 유대교

주전 274-198

이집트와 시리아 사이에 팔레스티나는 세력다툼의 축이 되다

 

주전 198

헬레니즘 문화의 확대로 인해 팔레스티나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영향권 하에 들어가다

 

주전 168

안티오코스 4세의 칙령은 유대제의, 안식일, 할례를 금지하다; 예루살렘 성전에 제우스 제단이 세워지다. 하스모니아(마카비) 가문의 지도 하에 유대인 반란

 

주전 168-129

마카비 전쟁. 유대인들은 하시딤과의 연대하에 자유로운 종교행위를 위해 투쟁하다

 

주전 165

성전 청결

 

주전 162

종교 자유, 하지만 하스모니아 가문의 제거; 다양한 형태의 율법 준수로 인한 유대인의 분열(후에 사두개파와 바리새파로 명명된다)

 

주전 142-135

시몬 마카비오스가 대제사장과 유대인의 지도자로, 하지만 시리아의 종주권 인정

 

주전 135-104

요안네스 히르카노스, 유대인의 지도자; 이두메아의 복속과 유대화

 

주전 129

시리아의 안티오코스 7세의 사망(파르티아인에 대한 전쟁에서); 유대인 해방되다

 

주전 103-76

알렉산드로스 얀나이오스가 유대인의 왕이 되다. 북부 갈리아의 복속과 유대화. 율법준수에 대한 분열. 그의 사망 이후 권좌에 대한 투쟁이 일어나 로마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다

 

주전 63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포위; 유다(이두메아 제외)는 시리아의 집정관의 통치 하에 로마의 속국이 되다. 알렉산더 얀나이우스의 아들 히르카노스가 대제사장이 되다.

 

주전 57-55

마카비가문의 알렉산드로스가 로마인에 대하여 반란을 일으키다

 

주전 40-4

헤로데스가 상원의 결정으로 왕으로 임명되어

 

주전 37

예루살렘의 정복으로 정권을 잡다. 헬레니즘 도시들의 통합으로 영토 확장; 하스모니아 가문의 전멸

 

주전 20/19

성전 건축의 시작 (주후 62-64년에 완성).

 

헤로데스 대왕의 사망 이후 그의 정권은 몰락하다

 

주전 4-주후 6

아켈라우스가 유다, 이두메아, 사마리아의 지도자가 되다; 그후 그의 영토는 카이사레이아에 본부를 둔 집정관 치하에 들어가 로마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다.

 

주전 4-주후 39

헤로데스 안티파스(성경의 헤롯왕; 마가 2장과 누가 1,5장은 그의 아버지 헤로데스 대왕)가 갈릴리와 베레아의 분봉왕이 되다.

 

주전 4-주후 34

필리포스가 북동부에 분봉왕이 되다.

 

주전 7-주후 7사이

술피키우스 퀴리니우스의 인구조사

 

주후 26-36

본디오 빌라도가 유다와 사마리아의 5번째 집정관이 되다

 

주후 28/29

세례 요한의 처형

 

주후 38/39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유대인 학살

 

주후 41-44

헤로데스 아그리파 1, 헤로데스 대왕의 손자가 칼리굴라 황제의 은혜로 할아버지 영토를 다스리는 왕이 되다(사도행전 12); 그의 사망 이후 다시 로마의 속국이 된다.

 

주후 40년 이후

알렉산드리아에서 필론의 사망

 

주후 49(?)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로마 유대인 추방령

 

주후 66-73

유대 전쟁

 

주후 70

티투스 황제에 의한 예루살렘의 정복과 파괴

 

주후 114-117

트라야누스 황제 하에 알렉산드리아, 키레네, 키프로스, 메소포타미아와 팔레스티나의 디아스포라 유대인 반란

 

주후 132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할례금지령; 쥬피터 카피톨리누스의 성전을 성전산에 세우다.

 

주후 132-135

바르 코크바의 지도 하에 팔레스티나 유대인의 새로운 반란

 

주후 135

팔레스티나 유대교의 종식. 예루살렘은 이방도시가 되어 아엘리아 카피톨리나로 명명되고, 유대인은 금지되다

 

주후 137년 경

미쉬나의 창시자, 라비 벤 아키바의 사망

 

출처 : 교회사자료와 개관
글쓴이 : 서원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