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랍어의 특징에는 무엇이 있나요?
- >>>아랍어의 문자
음소 문자의 대표적인 문자인 로마 알파벳 문자는 가장 세계적인 문자 형태로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전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고 동양에서도 터키어, 말레이어, 월남어 등이 로마 알파벳을 차용하고 있다.
이 로마 알파벳은 이집트 문자로부터 시작하여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등이 오랜 세월에 걸쳐 상형-표의-음절-표음의 과정을 밟아 발전된 것이다. 음소 문자의 또하나의 예는 몽골·만주 문자로서 이 문자는 아랍 문자가 이란을 통해 위구르에 전승되고 이를 몽골과 만주가 받아 쓰게 된 것이다.
라틴 문자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아랍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의 직계로서 셈어족의 각종 문자의 원형이 된 아람(Aramic)문자에서 파생, 발전된 것이다(). 이러한 문자로는 아랍 문자외에도 히브리 문자, 그루지야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시리아 문자 등이 있다.
그리스어, 히브리어, 아랍어, 영어에서 알파벳 이름이나 순서가 유사한 점 등 모체의 알파벳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A는 가장 오랜 문자로 간주되는 시나이(Sinai) 문자에서 의 머리 모양을 보여주고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간단화되며 도형적 성격을 띄게 되고 그리스 문자에서는 거의 완전히 기호화된다. 북서 셈어에서는 가 lef와 같은 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 히브리어에서는 를 elef라 하고 이 명칭이 그리스에 전해져 alpha가 되었다.
아랍어에서도 첫 문자의 명칭이 alif이다. B도 원래 을 표시하...
>>>아랍어의 문자
음소 문자의 대표적인 문자인 로마 알파벳 문자는 가장 세계적인 문자 형태로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전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고 동양에서도 터키어, 말레이어, 월남어 등이 로마 알파벳을 차용하고 있다.
이 로마 알파벳은 이집트 문자로부터 시작하여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등이 오랜 세월에 걸쳐 상형-표의-음절-표음의 과정을 밟아 발전된 것이다. 음소 문자의 또하나의 예는 몽골·만주 문자로서 이 문자는 아랍 문자가 이란을 통해 위구르에 전승되고 이를 몽골과 만주가 받아 쓰게 된 것이다.
라틴 문자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아랍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의 직계로서 셈어족의 각종 문자의 원형이 된 아람(Aramic)문자에서 파생, 발전된 것이다(). 이러한 문자로는 아랍 문자외에도 히브리 문자, 그루지야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시리아 문자 등이 있다.
그리스어, 히브리어, 아랍어, 영어에서 알파벳 이름이나 순서가 유사한 점 등 모체의 알파벳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A는 가장 오랜 문자로 간주되는 시나이(Sinai) 문자에서 <소>의 머리 모양을 보여주고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간단화되며 도형적 성격을 띄게 되고 그리스 문자에서는 거의 완전히 기호화된다. 북서 셈어에서는 <소>가 lef와 같은 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 히브리어에서는 <소>를 elef라 하고 이 명칭이 그리스에 전해져 alpha가 되었다.
아랍어에서도 첫 문자의 명칭이 alif이다. B도 원래 <집>을 표시하는 것으로 그 명칭은 b t와 같은 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도 히브리어와 아랍어에서는 bayt라고 한다. 이 명칭이 그리스에 전해져 beta라는 문자의 명칭이 된다. 알파벳(alphabet)이란 명칭은 바로 그리스 문자의 두 글자인 alpha와 beta가 결합된 것이다.
( 아랍어 알파벳)
그리스어: alpha, beta, gama, delta
히브리어: aleph, beth, gamel, dalet
영어 : a, b, c, d,
아랍어 : abjad
또 영어와 아랍어의 알파벳중에서도 이름과 순서가 유사한 알파벳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랍어 : k f, l m, m m, n n
영어 : k, l, m, n,
아랍 문자의 기원에 대하여는 이븐 칼둔이 남부 아라비아의 사바문자와 힘야르 문자에서 발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여러 이론이 구구하지만, 이슬람 이전 서북부 아라비아와 시리아 지역에서 상업 활동으로 유명하던 나바트족이 사용하던 나바트어(아람어의 방언임)에서 변형, 발달되었다는 것이 유력한 견해이다. 이들은 기원전 일세기에 북부 아라비아와 남부 시리아 지역을 정복하고 수도를 페트라로 정했다.
당시 나바트인들은 상업 활동상 시리아인들과 접촉함으로써 시리아어나 아람어 문자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이같은 영향은 나바트인들을 통해 히자즈지방의 아랍인들에게 전수되었을 것이다.
북부 아라비아에서 나바트인들의 비문들이 최초로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나마라(Namara, 서기 328년), 움 알 지말(Umm al-Jimal, 서기 250년), 자바드(Zabad, 서기 512년)의 비문으로서 사우디 아라비아의 울라(Ula )와 마다인 살리흐(Mada'in salih )에서 발견된 비문들과 유사하다.
나마라 비문은 아랍문자의 원조인 나바트 문자로 쓰여진 것으로 시리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비문은 최초의 고대 아랍 시인인 킨다 왕국의 이므루 알 까이스(Imru' al-Qays) 왕자의 묘에서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랜 아랍어 기록은 아랍어, 그리스어, 시리아어의 3개 언어로 쓰여진 자바드 비문이다. 이처럼 아랍 문자는 서기 4세기 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북부아라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아랍어 철자
셈어족의 다른 문자처럼 아랍 문자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여진다().
28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아랍 문자는 본래 북부 셈어족 알파벳의 아람 문자-나바트 문자 계통에서 파생된 22개의 자음과 거기에 6개의 새로운 자음이 추가된 것이다. 그중 alif, waw, ya'의 3자음은 장모음으로도 사용된다.
자음은 어두, 어중, 어말등 단어 안에서의 위치에 따라 약간씩 모양이 바뀌는데() 대부분의 자음은 다른 자음과 앞뒤로 연결되어 쓰이기도 하지만 어떤 자음은 앞 자음과는 연결되나 뒤에 오는 자음과는 연결되지 않기도 한다.
위로 세워진 수직선과 중간선 아래로 내려뻗은 열린 곡선의 절묘한 균형은 문자의 조화를 이루게 한다. 또 다른 문자와 연결되지 못하는 특성은 해당 자음의 뚜렷한 발음을 내게 한다.
아랍어 문자는 이슬람의 출현과 함께 더욱 정교하고 세련된 표기 체계를 발전시켰다. 모든 기록은 아랍어로 표기하도록 장려되었으며 읽고 쓸줄 아는 능력이 '이슬람'이라는 단어와 동의어로 쓰일 정도였다. 이슬람 원년에 문자의 아래 위로 점을 찍게하여 점이 없는 동일한 문자와 구별케 하였다.
따라서 모양이 유사한 세 문자 ba, ta, tha는 ba 는 밑에 점하나, ta 는 위에 점 두개, tha 는 위에 점 세개를 찍어 표기하였다. 점을 찍어 넣는 과정을 이라 하였다().
아람어에서도 점을 찍어 사용하였지만 아랍어에서 점은 좀더 체계적으로 이용되었다.
히즈라 일세기 중반에 아부 알 아스와드(Abu al-Aswad al-Du'ali )는 모음을 고안하여 아랍어 문자 아래 위로 빨간 점을 찍어 단모음을 표시하였다.
그후 히즈라 2세기에 칼릴 이븐 아흐마드(al-Khalil ibn A hmad)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음 부호를 만들어냈으며 이어 무모음 표지인 수쿤(sukun)이나 중자음을 나타내는 샷다(shadda), 비한정 표지인 탄윈(tanwin)같은 부호가 고안되었다.
아랍어 문자는 인도에서 숫자가 들어오기 전까지 숫자대신 사용되었다. alif가 1에해당되고, ba 가 2, qaf가 100에 해당되었다. 아랍어의 알파벳은 아직도 일알련번호로 쓰인다. 이와같이 고대에 숫자의 대용으로 사용되던 알파벳을
>>>아랍어의 서체
아랍어에는 두 가지 서체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슬람 초기인 서기 638년에 세워져 학문이 번성했던 도시인 쿠파의 지명을 본딴 쿠피(kufi )체와 메카-메디나체라고도 불리는 나스크(naskh)체가 발달하였다.
서기 7세기 말경부터 사용된 쿠피체는 굵은 글씨체로 비명(碑銘)에 알맞는 서체였다. 이 글씨는 특히 바위나 동전에 글씨를 새겨넣거나 모스크의 벽에 비명을 쓰는데 적합하였다. 글자의 모양은 굵고 비스듬하지 않으며 모가 난 것이었다. 아랍어 서체의 기법이 발달함에 따라 쿠피체는 아름다운 글씨체가 되었으며 그로부터 주로 고전적인 다양한 서체들이 파생되었다. 이후 쿠피체는 11세기경부터 점차 사라지기 시작해 비문이나 공식적인 문서, 꾸란의 필사본 등 보다 장식적인 요소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서기 1000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나스크체는 흘림체로서 일상 생활의 용도로 종이에 주로 쓰였다. 나스크체는 오늘날 신문과 잡지, 책에 흔히 사용되는 서체이다.
루끄아(ruq')체는 필기를 위한 흘림체로서 나스크체를 필기시에 빨리 쓸 수 있게끔 간편화된 서체이다. 예를 들면, Sin이 나스크체에서는 세 개의 치아모양으로 써지는 것이 루끄아체로는 일직선으로 표기된다. 쑬루쓰(thuluth)체는 나스크체와 다소 유사하며 고대로부터 세 가닥의 말 강모(剛毛)로 쓰여진데서 그 이름이 유래된다. 디완(divani)체는 오토만 터키에서 발달되어 궁전과 공문서에서 사용된 것이며, 파리시(farisi )체는 그 명칭이 아랍문자를 차용한 페르시아어로 쓰여져서 유래된 서체이다. 이와같이 나스크체는 다양한 서체로 발달하여 오늘날 사용되는 아랍어 서체의 모체가 되었다.
이와같이 아랍어 문자를 활용한 무궁무진한 서체의 발달과 연자(連字)의 필기법, 이슬람의 독특한 예술관은 아랍 특유의 서예문화 발달에 기여하였다. 이슬람에서는 사람의 얼굴을 그리는 것을 우상숭배로 금하였으므로 이슬람의 경전인 꾸란에도 예언자 무함마드의 얼굴 모습을 그려넣지 않았으며 그대신 글자로서 화려한 장식 기능을 수행하게 하였다. 또 아랍문자는 모스크나 비문을 장식하는 주된 요소가 되어 아랍 서예는 멋지고 화려한 장식예술을 낳았다
'眞理와 求道者 > 이슬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001. 유목민의 등장(셀주크 투르크). (0) | 2013.12.19 |
---|---|
[스크랩] 연표 01. 투르크 이전의 이슬람 세계. (0) | 2013.12.19 |
[스크랩] 세계문화유산(146)/ 이스라엘/ 네제브 지역의 사막 도시와 향로 (0) | 2013.11.26 |
[스크랩] “케냐 테러 주범은 英여성 ‘화이트 위도’ 별명 불려” (0) | 2013.09.25 |
[스크랩]히잡 쓴 파키스탄 女 전투기 조종사 탄생 (0) | 201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