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理와 求道者/불교관련

[스크랩] 선의 나침판 (숭산 대선사의 가르침)...현각 엮음

心中火熱頭腦冷精 2014. 4. 16. 13:22

 

 

 

우리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성을 찾는 것이다.

진정한 삶이란 자신 뿐 아니라 다른 중생들 까지도 고통으로 부터 구해 내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우리 자신부터 먼저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것이 우리가 본성을 찾아야 하는 이유이다.

죽기전에 그것을 알아야 한다. 본성을 찾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참선 수행이다.

 

 바른 수행은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일에서 부터 시작한다.

'나는 누구인가'라고 묻는 것이 참선 수행의 시작이자 끝이다.

'내가 누구인가' 라는 물음을 깊이하면 지혜의 배에 필요한 나침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오직 모를뿐'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우리는 그저 행복하게, 소박하게 살고 싶다고 하지만 그 소망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대부분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 먹고 자고 살아간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진정한 삶의 목표가 아니며, 단지 일시적인

 수단에 불과하다.

 

가장 중요한 삶과 죽음의 문제, 그리고 진정한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어떻게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가?

 

 부처는 자신 개인의 깨달음에 집착하지 않고 중생들에게 깨달음의 경험을 전하기 위해 (대자대비심)

 다시 인간의 세상으로 나오면서 불교는 시작된 것이다.

 

 부처의 가르침은 인간 본성품을 깨달아 고통의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이다.

불교는 주체 종교이다. 자기자신, 내가 이미 갖고 있는 본 성품, 바로 '나'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은 나의 존재 그 자체에 대한 깊은 통찰이다.

 

 더 이상 붙잡을 욕망이 없다면 우리는 이미 완전하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 우리는 아무것도

부족하지 않다.

 

 마음이 모든 것을 만든다. 마음이 있으면 나타남과 사라짐이 생긴다. 마음이 없으면 나타남은 없고

 사라지는 것도 없다.

 

 전생을 알고 싶으면 현재 생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된다. 당신은 무엇을 좋아 하느냐, 모든 것이 우리의

 과거 업에서 온다. 우리 의식의 창고 안에 저장된 행동과 사고에서 나온다. 같은 식으로 우리가 현생에서

 생각하고 있는 모든 것들은 우리의 다음생을 결정한 것이다. 그러니 바로 지금 이 순간, 어떻게 할 것인가는

 아주 중요한 것이다.

 

 요즘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욕망과 몸의 만족만을 좇아 일생을 허비한다. 이것이 동물의 마음이다.

오직 나, 오직 나 뿐이다. 개나 고양이는 서로에 대해 관심이 없다. 뱀은 새의 조건에 대해 관심이 없다.

요즘 대부분의 인간들이 이와 같아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삶이 만들어 내는 업 때문에 아까 그들도

다음생에 동물로 태어난 것이다.

 

 참선이란 순간순간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참선할 때 우리는 몸, 호흡, 마음을 통제할 어떤

기술들을 사용해서 모든 생각을 끊고 본성을 깨닫는 것이다. 참선은 자세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순간순간

마음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매 상황에서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진정한 참선은 앉은 자세가 아니라 마음의 자세이다. 어떤 상황 조건에서도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가능하면 다리를 꼬고 등과 머리는 일직선에 놓는다. 눈은 반쯤만 열고 45도 시선으로 바닥을 바라본다.

손은 단전 앞에 놓고 부처님 자세로 오른손을 왼손 밑바닥에 깔고 양 엄지 손가락을 맞닿아 동글게 만든다.

그리고 배꼽아래 단전으로 천천히 숨을 들이 쉬었다. 내 쉬었다 한다.

길게 들이쉬고 내쉬고 들이쉬고 내쉬고, 들이쉬고 내쉰다.

 

 호흡을 통제할 수 있으면 마음을 통제할 수 있다. 천천히 숨을 내 쉬고 들이쉼에 따라 생각도 천천히 밑으로

 밑으로 가라 앉는다. 에너지가 천천히 배꼽 아래 단전에 모이기 시작하면 생각도 덜 복잡해진다.

참선수행에서 마음을 두는 곳은 항상 우리의 중심, 즉 단전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에너리가 머리에 있거나 가슴에 모여 있다. 머리는 지성의 중심이고, 가슴은 감정의 중심이다.

머리에 중심을 두는 것은 생각을 복잡하게 하고 에너지를 올라가게 한다.

생각을 머리와 가슴에서 내려 놓는다. 단전이 의지와 행동의 중심이 되도록 해야 한다.

생각이 천천히 단전에 모여 안정되면 생각과 감정도 맑아진다.

 

 인간은 각자 '생각'에 사로잡혀 괴로움을 스스로 만든다.

자신만의 견해, 조건, 상황에 집착해 욕심, 분노, 무명을 갖는다. 생각이란 언제나 변하는 것인데도 사람들은

이 변하는 생각에 집착해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괴로워한다. 진리를 따르지 않고 하루에도 열 두번씩 바뀌는

생각을 쫒기 때문에 진리의 삶과는 멀어지는 것이다.

 

 1. 불교는 3종류

 

  1) 소승불교는 부처님이 주로 초반에 가르침을  편친 것으로 핵심은 삶이란 언제나 변하며 고통임을 깨닫는 자각이다.

     완벽하게 텅빈 세계에 도달하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다.

 

  2) 대승불교는 부처님이 제자들이 어느정도 이 가르침을 이해한다고 여기자 우리가 현재 대승불교라고 부르는 것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핵심은 공(空) 사상이다. '공'을 깨달은 뒤에는 대자대비(고통속에서 헤매는 중생을 마지막 한 사람까지 구해 내지 못하면 결코 자기

     혼자서 영원한 고요와 기븜의 세계인 열반으로 들어가지 않겠다는 자신과의 큰 서원이다)를 행하는 것이다.

 

 3) 선불교는 소승과 대승의 가르침이 끝난 후 가르치기 시작한다. 직접적으로 마음을 탐구해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돕는 것이다. 언어를 통한

    배움에 강조를 두지 않고 단지 수행만이 있을 뿐이다.

 

2. 불교의 구성

 

 1) 불보: 순간순간 어떤 조건, 어떤 상황에서도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

 2) 법보: 지식과 고통은 비례하게 마련이어서 아는 것이 적으면 고통이 적게 된다. 우리가 '오직 모를뿐' 이라는 마음을 갖지면 아무 문제가 없다.

    '오직 모를뿐'은 생각이 일어나기 전 우리의 마음으로 돌아온다는 뜻이다. 지식이란 엄밀히 따져보면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의 생각일 뿐이다.

    수행을 통하여 지식을 지혜로 바꾸어 불교의 가르침이 연결되는 접점이다.

 3) 승보: 불도를 실천해 나가는 윤리적 측면으로 부처님고 법을 통해 순간순간 바른 삶을  갈고 닦는 것이다. 인간은 가장 고등한 동물이면서도

   가장 많은 고통에 시달린다. 어떤 이념이나 관념에 집착한 자유만을 부르짖을 뿐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지 않는다. 오로지 '나'의 감정, 'ㄴ'의

  조건, '나'의 상황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좋은 감정, 좋은 조건만을 원한다. 오직 욕망뿐이다.

 

▶ 저자소개

 승산 행원 대선사

 

 1927년 평안남도 순천에서 태어났다. 1944년 일제의 압제 아래 독립운동 단체에서 활동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동국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

했으나, 불안한 사회를 보며 자신의 정치적운동이나 학문으로는 세상에 도움을 줄 수 없음을 깨달았다.

 참된 진리를 구하기 위해1947년, 충남 마곡사로 출가하여 행원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1949년 예산 수덕사에서 당시 한국 불교의 대표적 선지식이었

던 고봉 대선사로부터 전법게와 숭산이라는 당호를 받아 이 법맥의 78대 조사가 되었다. 당시 고봉스님은 '너의 법이 세계에 크게 퍼질 것' 이라고

예견했다.

1966년 일본으로 건너가 해외 포교에 앞장서 1972년 미국에 홍법원 개설을 시작으로 32개국에 120여 개 선원(zen center)을 설립. 운영하였으며

수많은 외국인 제자들을 길러냈다.

 달라이 라마, 틱낫한, 마하거사난다와 함께 세계4대 생불로 추양받은 숭산 스님은 만년까지 세계를 누비다. 2004년 서울 수유리 화계사에서 입적했다.

 

 

 

  

        

출처 : 내가 주인공이 되려면 읽고 실천하라.
글쓴이 : 마루 원글보기
메모 :